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Spring REST Docs
- MSA
- SpringBoot
- axios
- gradle
- tasklet
- AuthenticatoinProvide
- Spring Batch
- Flyway
-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
- Crawling
- 리액트
- OpenStack
- T-OTP
- MFA
- vuejs
- Spring Security
- vue
- SpringRESTDocs
- Reduxpender
- openapi3
- preventdefault
- JavaScript
- Filter
- Pender
- REACT
- stopPropogation
- cheerio
- cloud native
- SWAGGER
Archives
- Today
- Total
Miracle Morning, LHWN
3. 상용 웹 앱을 개발하기 위한 필수 기술들, 라우터 & HTTP 통신 본문
라우팅
# 라우팅 : 웹 페이지 간의 이동 방법을 말한다. SPA (Single Page Application)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.
→ 화면 간의 전환이 매끄럽다.
→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.
→ Vue 뿐만 아니라 React, Angular 에서도 모두 라우팅을 이용하여 화면을 전환하고 있다.
※ SPA (Single Page Application) :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서버에 웹 페이지를 요청하여 새로 갱신하는 것이 아니라,
미리 해당 페이지들을 받아 놓고 페이지 이동 시에 클라이언트의 라우팅을 이용하여 화면을 갱신하는 패턴을 적용한 어플리케이션
뷰 라우터
뷰에서 라우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식 라이브러리이다.
태그 | 설명 |
<router-link to="URL 값"> | 페이지 이동 태그이다. 화면에서는 <a> 로 표시되며 클릭하면 to 에 저장한 URL 로 이동한다. |
<router-view> | 페이지 표시 태그. 변경되는 URL에 따라 해당 컴포넌트를 뿌려주는 영역이다. |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Vue Router Sample</title>
</head>
<body>
<div id="app">
<h1>뷰 라우터 예제</h1>
<!-- 1. a 태그 버튼으로 변환되어 표시되어 URL 값을 변경하는 태그 -->
<p>
<router-link to="/main">Main 컴포넌트로 이동</router-link>
<router-link to="/login">Login 컴포넌트로 이동</router-link>
</p>
<!-- 2. URL 값에 따라 갱신되는 화면 영역 -->
<router-view></router-view>
</div>
<script src="https://cdn.jsdelivr.net/npm/vue@2.5.2/dist/vue.js"></script>
<script src="https://unpkg.com/vue-router@3.0.1/dist/vue-router.js"></script>
<script>
// 3. Main, Login 컴포넌트 정의
var Main = { template: '<div>main</div>' };
var Login = { template: '<div>login</div>' };
// 4. 각 URL에 맞추어 표시할 컴포넌트 지정
var routes = [
{ path: '/main', component: Main },
{ path: '/login', component: Login }
];
// 5. 뷰 라우터 정의
var router = new VueRouter({
routes
});
// 6. 새 인스언스를 생성 후 라우터 정보가 담긴 router 추가
// $mount 는 el 속성과 같이 인스턴스를 화면에 붙여주는 역할
var app = new Vue({
router
}).$mount('#app');
</script>
</body>
</html>
# $mount() API : el 속성과 동일하게 인스턴스를 화면에 붙이는 역할을 한다.
만일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el 속성을 넣지 않았더라도 생성하고 나서 $mount() 를 이용하면 강제로 인스턴스를 붙일 수 있다.
뷰 라우터에서는 el 을 지정하는 방식보다는, 라우터만 지정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인스턴스를 $mount() 를 이용해 붙이는 식으로 안내하고 있다.
'IT 기술 > [Vue]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뷰 HTTP 통신 (0) | 2021.06.02 |
---|---|
4. 네스티드 라우터와 네임드 뷰 (0) | 2021.06.02 |
2. 뷰 컴포넌트 통신 (0) | 2021.06.01 |
1. 화면을 개발하기 위한 필수단위, 인스턴스와 컴포넌트 (0) | 2021.06.01 |
0. Vue.js란 무엇인가? (0) | 2021.06.01 |
Comments